KBS1
한국인의 밥상
한강 시간이 흐르고 맛이 쌓이다
696회 2025년 3월 13일 방영
한강이 품은 고향, 밤섬 사람들의 그리움의 맛
서울 한복판을 가로지르는 한강을 잇는 서른 개가 넘는 다리 중 서강대교 아래 보이는 섬이 하나 있습니다. 밤을 닮았다 해서 ‘밤섬’이라 불리는 이 섬은 지금은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는 무인도지만, 한때는 400여 명이 넘는 주민들이 살던 섬마을이었습니다.
배를 만들던 목수들이 처음 정착했다고 알려진 밤섬에는 땅콩 농사를 짓고, 고기를 잡고 살던 사람들의 삶의 터전이었습니다. 1968년, 홍수 예방과 여의도 개발을 위해 폭파되면서 섬을 떠나야 했던 사람들에겐 갈 수 없는 고향이 됐습니다.
밤섬이 사라지고 주민들이 대거 이주한 마포구 와우산 자락에는 마을 사람들은 고향을 내려다볼 수 있는 곳에 마을 수호신을 모셔놓은 신당인 ‘부군당’을 옮겨왔습니다. 12살에 이주하기 전까지 밤섬에서 뛰어놀던 박은숙(78세), 박명숙(79세) 자매와 지효경(78세) 씨는 밤섬에서의 기억을 더듬어 봅니다.
‘모래 반 재첩 반’이라고 할 만큼 흔했던 재첩으로 끓인 재첩미역수제비와 모래찜질을 하면 큰 솥을 걸고 마을 사람들이 한솥 끓여 먹던 참게메기매운탕, 집마다 땅콩 농사를 지어 흔했던 땅콩죽까지 밤섬 사람들의 그리움을 달래주는 추억의 음식들입니다.
밤섬실향민운영
파주두경오리농장
위치 주소 : 경기 파주시 돌곶이길 107
한강에 기대어 살다 – 뚝섬 토박이들의 추억과 음식
성동구 성수동, ‘뚝섬’ 또는 ‘뚝도’라 불리던 이곳은 고기를 잡고, 나룻배가 모여들던 강변마을입니다. 한강을 곁에 두고 살아온 뚝섬 토박이 신동욱(69세), 이은섭(68세) 씨에게 한강은 평범한 강이 아니랍니다. 심심하면 고기 잡으러 강으로 향했던 이들은 요즘도 틈만 나면 한강에 출근 도장을 찍고 있습니다. 장어, 붕어, 쏘가리까지 없는 게 없다는 한강에서는 그중에서도 뚝섬 장어가 실하기로 유명했습니다.
연탄불에 노릇노릇 구운 장어 한 점에 옛 추억이 되살아납니다. 저마다 품고 있는 뚝섬유원지와 뚝섬 나루터의 추억이 있습니다. 여기저기서 사람들이 모여들던 그 시절 뚝도시장도 최고 전성기를 누렸었습니다. 강남에서 배를 타고 건너와서 장을 볼 만큼이나 남대문, 동대문 시장과 함께 서울 3대 시장으로 손꼽혔습니다. 새벽부터 일하는 일꾼들의 허기를 달래던 국말이떡, 맛이 좋아 ‘갈비’라고 불렸던 뚝섬의 채소까지 뚝섬 토박이들의 추억이 담긴 옛 음식들을 맛보았습니다.
뚝도시장
위치 주소 : 서울 성동구 성수이로 32-15
전화 연락처 문의 : 02-464-4426
https://meanto.tistory.com/1518
한국인의 밥상 695회 화순 용강마을 부녀회 방앗간 화순향토음식연구회 깻묵 김순례
KBS1한국인의 밥상손맛의 고수들 마을 부녀회가 떴다695회 2025년 3월 6일 방영조상의 지혜가 담긴 밥상을 지키는 사람들 – 전라남도 화순군 그 옛날 임금님도 감동한 열녀와 충신을 여럿 배출
meanto.tistory.com
'TV 방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의 밥상 696회 한강 전류리포구 어부 태창호 참숭어 심미섭 선장 반건조숭어 (0) | 2025.03.12 |
---|---|
한국인의 밥상 696회 한강 마포나루 배알미마을 새우젓골목 고기집 대포 신사상가 신사시장 떡볶이 채소가게 (0) | 2025.03.12 |
아침마당 3월 12일 도전 꿈의 무대 우승 이승우 박지수 성훈 이수민 허송 (0) | 2025.03.12 |
인간극장 최전방 해녀 조단비 동해 강원 고성 대진항 최북단 해녀단비 문어 이홍준 (0) | 2025.03.09 |
세계테마기행 중국명산기행 4부 옥령설산 대관전신농무시장 쿤밍 더우난꽃시장 리장 삼청산 슬리핑기차 김진곤 (0) | 2025.03.07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