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KBS1

한국인의 밥상

그해 겨울 따스한 맛의 기억

687회 2025년 1월 9일 방영


어머니의 고향에서 시작된 인생 2막 ‘화담(和談)마을’ 형제들 – 경상북도 문경시

 

 

 

첩첩산중 경상북도 문경의 산골짜기에 최근 작은 마을이 하나 생겼습니다. 화기애애하게 담소를 나누자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 ‘화담(和談)마을’입니다. 1호부터 6호까지, 총 여섯 가구로 이루어진 이 마을은 전국에 흩어져 살던 사촌 형제가 모여 만들어졌습니다. 문경에 가장 먼저 터를 잡은 사람은 1호 집 주인장인 장명옥(68세) 씨입니다. 문경은 명옥 씨의 외가 동네이자 남편의 고향이기도 합니다. 서울에서 나고 자라 어머니의 고향으로 시집을 온 것입니다. 4남 1녀 고명딸로 귀하게 자란 명옥 씨는 결혼할 때까지 손에 물 한 방울 묻히지 않고 곱게 자랐습니다. 

 

 

 

음식 솜씨가 좋은 친정어머니의 손맛을 쏙 빼 닮은 건 결혼하고 나서, 부엌살림을 맡으면서 알게 됐습니다. 어린 시절을 함께 보낸 사촌들이 어울려 살다 보니, 매일 잔칫집 분위기에 덩달아 명옥 씨가 손맛을 발휘할 기회도 많아졌습니다. 특히, 문경에 가장 오래 산 사람인 명옥 씨는 문경 향토 음식에도 가장 익숙합니다. 서울에서 태어났지만,어머니의 고향의 음식을 먹고 자랐기 때문입니다. 그중 명옥 씨가 가장 좋아했던 게 골뱅이국입니다. 문경에선 다슬기를 골뱅이라 부르는데, 고사리와 토란대를 넣고 얼큰하게 끓이는 게 어머니의 비법입니다. 

 

 

몸이 허하다 싶을 때 찹쌀로 빚어주신 옹심이미역국도 잊을 수 없는 맛입니다. “날도 추운데 골 메우자”며 소리치시던 어머니 목소리가 아직 귓가에 생생하다는 명옥 씨입니다. 골을 메우자는 건, 속을 든든하게 채우자는 의미랍니다. 그래서 어머니는 든든하도록 미역국에 찹쌀로 빚은 옹심이를 넣으셨습니다.

 

장명옥 씨가 어린 시절 즐겨 먹었던 콩가루시래기찜은 다른 지역에 살던 사촌들에겐 낯선 음식이기도 합니다. 시래기에 콩가루를 듬뿍 묻혀서 된장과 함께 끓입니다. 겨울이면 어머니 치맛자락에서 나던 고소한 콩가루 냄새가 아직도 코 끝에 선합니다. 사촌에서 이웃이 된 남매들이 어머니의 고향에서 추억하는 그 시절의 음식을 맛봅니다.

 

문경애미나리

위치 주소 : 경북 문경시 마성면 모곡리 473

전화 연락처 문의 : 010-3252-3482

 

 

 

https://meanto.tistory.com/1412

 

한국인의 밥상 687회 화성 묵두루치기 메밀묵 김치전골 사남매 정태교 비봉농원

KBS1한국인의 밥상그해 겨울 따스한 맛의 기억687회 2025년 1월 9일 방영어머니가 남겨준 맛의 기억, 늦둥이 아들의 사모곡 - 경기도 화성시   가족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 귀농한 정태교(62

meanto.tistory.com

 

300x25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