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1
한국인의 밥상
그해 겨울 따스한 맛의 기억
687회 2025년 1월 9일 방영
첩첩산중 경상북도 문경의 산골짜기에 최근 작은 마을이 하나 생겼습니다. 화기애애하게 담소를 나누자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 ‘화담(和談)마을’입니다. 1호부터 6호까지, 총 여섯 가구로 이루어진 이 마을은 전국에 흩어져 살던 사촌 형제가 모여 만들어졌습니다. 문경에 가장 먼저 터를 잡은 사람은 1호 집 주인장인 장명옥(68세) 씨입니다. 문경은 명옥 씨의 외가 동네이자 남편의 고향이기도 합니다. 서울에서 나고 자라 어머니의 고향으로 시집을 온 것입니다. 4남 1녀 고명딸로 귀하게 자란 명옥 씨는 결혼할 때까지 손에 물 한 방울 묻히지 않고 곱게 자랐습니다.
음식 솜씨가 좋은 친정어머니의 손맛을 쏙 빼 닮은 건 결혼하고 나서, 부엌살림을 맡으면서 알게 됐습니다. 어린 시절을 함께 보낸 사촌들이 어울려 살다 보니, 매일 잔칫집 분위기에 덩달아 명옥 씨가 손맛을 발휘할 기회도 많아졌습니다. 특히, 문경에 가장 오래 산 사람인 명옥 씨는 문경 향토 음식에도 가장 익숙합니다. 서울에서 태어났지만,어머니의 고향의 음식을 먹고 자랐기 때문입니다. 그중 명옥 씨가 가장 좋아했던 게 골뱅이국입니다. 문경에선 다슬기를 골뱅이라 부르는데, 고사리와 토란대를 넣고 얼큰하게 끓이는 게 어머니의 비법입니다.
몸이 허하다 싶을 때 찹쌀로 빚어주신 옹심이미역국도 잊을 수 없는 맛입니다. “날도 추운데 골 메우자”며 소리치시던 어머니 목소리가 아직 귓가에 생생하다는 명옥 씨입니다. 골을 메우자는 건, 속을 든든하게 채우자는 의미랍니다. 그래서 어머니는 든든하도록 미역국에 찹쌀로 빚은 옹심이를 넣으셨습니다.
장명옥 씨가 어린 시절 즐겨 먹었던 콩가루시래기찜은 다른 지역에 살던 사촌들에겐 낯선 음식이기도 합니다. 시래기에 콩가루를 듬뿍 묻혀서 된장과 함께 끓입니다. 겨울이면 어머니 치맛자락에서 나던 고소한 콩가루 냄새가 아직도 코 끝에 선합니다. 사촌에서 이웃이 된 남매들이 어머니의 고향에서 추억하는 그 시절의 음식을 맛봅니다.
문경애미나리
위치 주소 : 경북 문경시 마성면 모곡리 473
전화 연락처 문의 : 010-3252-3482
https://meanto.tistory.com/1412
'TV 방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네한바퀴 302회 김포한옥마을 꽃님이보자기살롱 41년 손영학 목판장인 은곡전통목판연구소 (0) | 2025.01.09 |
---|---|
동네한바퀴 302회 김포 북변동 백년의 거리 털레기 부여손칼국수 고딩엄빠 부부 이인버섯농장 (0) | 2025.01.09 |
한국인의 밥상 687회 화성 묵두루치기 메밀묵 김치전골 사남매 정태교 비봉농원 (0) | 2025.01.08 |
한국인의 밥상 687회 울진 고사리나물 산나물 호박범벅 식품명인 고화순 명장 하늘농가 (0) | 2025.01.08 |
아침마당 1월 8일 도전 꿈의 무대 윤광남 홍지호 이하평 마이 김병태 (0) | 2025.01.08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