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KBS1

한국인의 밥상

새해 밥상에 희망을 담다

686회 2025년 1월 2일 방영


 

한국인의 밥상 최불암이 휴가를 끝내고 3개월만에 복귀했습니다. 같은 날의 연속이라 할지라도 새해는 누구에게는 특별합니다. 매일 뜨는 해라 할지라도 새해 첫 아침의 해는 가슴을 뛰게 합니다. 새로운 출발선에 선 마음으로 다시 한번 기운차게 달려보고 싶어집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새해가 되면 일부러 해맞이하러 나섭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맞이 마을에서 제자리를 묵묵히 지키며 성실하게 살아가는 이들의 새해 밥상과 소박하면서도 옹골한 새해 소망을 담아봅니다. 

 

 

 

 포항 바다의 젊은 어부와 어머니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동해면 임곡항

 

 

우리 국토의 동쪽 끝에 있는 포항의 호미곶. 자정을 넘긴 시간, 배 한 척이 호미곶 앞의 어두운 밤 바다로 출항합니다. 주로 밤에 활동하는 오징어를 잡고 있는 젊은 어부 박정석(36세) 씨는 어머니의 등에 업혀 다섯 살 때부터 아버지의 배를 탔습니다. 박정석 씨는 10년 동안 원양어선을 탄 뒤, 4년 전 아버지의 바다로 돌아왔습니다.

 

박정석 씨가 나고 자란 포항 앞바다는 남태평양을 누비던 시절에도 늘 그리웠던 고향입니다. 예전과 달리, 이제는 동해에도 오징어가 많이 나지 않아 밤샘 조업을 해도, 절반 이상은 잡어입니다. 젊은 사람들이 뱃일을 기피해 자동조타기에 의지해 홀로 밤바다를 지켜야 하는 어려움도 있습니다. 그래도 바다 한가운데서 맞이하는 그의 새해 첫 아침은 특별합니다. 

 

 

밤새 홀로 조업하는 아들이 걱정돼 제대로 잠도 이루지 못한 채 새벽 항구에서 아들을 기다리는 어머니는 칼바람을 맞으며 일하느라 몸이 얼어붙은 아들을 위해 새참 음식으로 오징어에 무를 넣어 뜨끈한 오징어 뭇국을 끓여냅니다. 오징어에는 타우린 성분이 많아 이만한 피로회복제가 없습니다.

 

고령층만 남은 항구에 젊은 정석 씨가 돌아온 덕분에 당신들에게도 물고기를 선별하는 일거리가 많아졌다며 즐거워하시는 마을 어르신들입니다. 이 소박한 행복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정석 씨는 더욱 열심히 일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19살 어린 나이에 가족을 위해 원양어선을 탄 아들을 생각하면, 아직도 가슴이 아려온다는 어머니는 아들이 좋아하는 음식들로 새해 밥상을 차리기 시작합니다. 

 

 

아들을 먼바다로 내보낸 뒤, 아들의 등골을 빼먹는 부모가 되지 않으려 온갖 허드렛일을 다 했던 어머니의 눈물겨운 사연이 담긴 삼치시래기찌개, 어머니의 음식이 그리울수록 더욱 이를 악물고 고된 원양어선 일을 버텨낸 뒤 어머니에게 횟집을 지어드린 아들의 사연이 담긴 건오징어볶음 입니다. 아들을 곁에 두고 매일 음식을 해먹일 수 있는 것만으로도 세상을 다 얻은 것 같다는 어머니의 행복이 담긴 통오징찜 등을 만듭니다. 

 

고향 바다에 돌아온 지 4년, 밤낮에 걸쳐 하루 두 번씩 조업하며 쉬지 않고 달려온 정석 씨는 1톤짜리 배로 시작해, 지금은 6톤짜리 배를 짓고 있습니다. 새 배의 출항을 앞둔 아들과 어머니의 설레는 소망을 새해 밥상에서 만났습니다. 

 

 

해안길횟집

위치 주소 : 경북 포항시 남구 동해면 호미로 3192번길 21-15 

전화 연락처 문의 : 054-292-6811

 

 

 

 

 

https://meanto.tistory.com/1389

 

한국인의 밥상 685회 장성 서삼면 편백숲 백련동 편백농원 김치 김진환 김주엽 마을식당

KBS1한국인의 밥상혼자먹으면 무슨 맛인가? 함께 차린 겨울 밥상685회 2024년 12월 26일 방영 우리 마을 김장하는 날! - 전라남도 장성군 서삼면  설경 속에도 푸른 잎의 나무들이 즐비한 장성의 편

meanto.tistory.com

 

300x25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