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1
한국인의 밥상
현충일 기획 73년을 기다린 따뜻한 밥 한그릇
659 회 2024년 6월 6일 방영
6.25 전쟁이 끝나고 정전협정이 체결 된지 올해로 71주년 입니다. 이제 전쟁의 비극을 실제로 겪은 1세대들은 찾기 힘들어졌습니다. 전쟁의 기억과 상처, 이별을 겪어야 했던 가족들의 이야기도 이제는 과거의 기록이 된 역사입니다. 6.25 전쟁후 73년이 지나 저마다의 사연으로 가족을 애타게 기다린 이들이 그 누구보다도 나누고 싶었떤 밥상과 그날을 기억하고 잊지 않기 위해서 정성껏 지어낸 따뜻한 밥 한그릇의 이야기를 만나봅니다.
그리운 고향이여 돌아오라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속초관광수산시장은 속초의 바다를 그대로 담고 있습니다. 속초에는 6·25 전쟁으로 인해 청호동에 임시로 정착했던 피난민들에게 황금과도 같은 생선이 있습니다. 함경도 고향 바다에서도 잡혔다던 임연수어입니다. 새치라고도 불리는 임연수어는 먹을 것이 더없이 귀했던 그 시절에 김용제(83세) 씨와 심삼옥(58세) 씨에게도 특별한 생선입니다.
심삼옥 씨는 고깃배를 타고 피난 온 아버지가 뱃일을 마치고 잡아 온 새치(임연수어)는 자녀들의 학비이자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수단이었습니다. 어머니는 행상으로 생선을 내다 팔며 고단하게 자식들을 키웠습니다.
부모님 세대부터 아바이마을에서 함께 살아온 이들에게 북녘의 고향은 늘 그리운 곳이었습니. 김용제 씨와 같은 고향에서 자랐다는 김상호(85세) 씨의 기억에는 피난 가는 자식들을 바라보던 할아버지의 얼굴이 눈에 선하다고 합니다. 이제는 함께 고향을 그리던 이들도 얼마 남지 않은 현실입니다. 김용제 씨와 심삼옥 씨의 손길이 고향의 맛이 사라지지 않도록 밥상 가득 기억을 담아냅니다.
아침 점심에 저녁 지겨울 정도로 끼니 때마다 먹었던 떡 장물과 백년손님을 위한 비장의 요리였다는 홍합가지찜에 새치(임연수어)를 다져 넣은 새치만두까지만듭니다. 지워져 가는 기억의 증인이 되고파 아버지가 즐기시던 음식과 어머니의 손맛을 기록하는 밥상에선 고향의 노래가 절로 나온다는 김용제 씨입니다.
‘돈돌라리-’ 가까이 있으나 멀기만 한 고향과 뿔뿔이 흩어진 가족들을 생각하며 ‘어서 돌아오라’는 바람이 가득 담긴 노래는 그리운 시간을 불러냅니다. 고향의 맛을 입안 가득 담아보며 북녘 고향을 떠올린다는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속초 아바이마을
위치 주소 : 강원도 속초시 청호로 122
전화 연락처 : 010-6374-7355
https://meanto.tistory.com/1000
한국인의 밥상 658회 완도 노화도 전복양식장 진영수산 박정미 택배 주문 밴드
KBS1한국인의 밥상새참 왔어요, 새참먹고 할까요?658 회 2024년 5월 30일 방영 새롭게 알게 된 새참의 행복 전라남도 완도군 노화도 전복의 섬이라 불리는 노화도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전복의
meanto.tistory.com
'TV 방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의 밥상 659회 현충일 강릉 가평지구 전투 적목리 순두부 코다리조림 김재권 김성택 박태규 전사자 유해 (0) | 2024.06.04 |
---|---|
한국인의 밥상 659회 현충일 태안 안면 전사자 유해발굴감식단 류홍석 일병 류영순 (0) | 2024.06.04 |
세계테마기행 발칸 3국 4부 그리스 코르푸섬 사랑의 운하 올드카 팔레오카스트리차 수도원 소크라카 로비니아 고희전 (0) | 2024.06.02 |
세계테마기행 발칸 3국 3부 알바니아 지로카스터르 올드카 축제 벤자온천 발보나 알프스 산맥 크사밀 해변 (0) | 2024.06.02 |
세계테마기행 발칸 3국 2부 몬테네그로 홈스테이 두르제비차 자블라크 티라나 크루여 카라바스타 베라트 한달살이 고희전 (0) | 2024.06.02 |
최근댓글